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

바닷물에 사는 ‘이색 민물 생선’ 이야기 황복, 숭어 등 특이한 생태를 지닌 어종의 비밀우리는 보통 민물 생선은 강이나 호수에, 바닷물 생선은 바다에 산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둘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살아가는 독특한 생선들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바닷물에 살지만 민물과도 관련이 깊은 '이색 민물 생선들'입니다. 오늘은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생태적으로 아주 흥미로운, 그리고 우리 식탁에도 종종 오르는 어종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다와 민물의 경계에서 사는 생선들?이색 민물 생선이란, 주로 바다에서 살지만 하천 하고나 기수역(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지역)에서 번식하거나 성장하는 습성을 가진 생선들을 말합니다. 이런 어종들은 염도 변화에 매우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바닷물과 민물 사이를 자유롭게 오갈 수.. 2025. 4. 8.
🌊 세계 사람들이 즐기는 한국산 생선 – 수출되는 어종의 비밀 우리가 평소에 즐겨 먹는 생선들이 해외에서도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과 풍부한 어업 자원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생선을 해외로 수출하고 있습니다.특히 신선도, 위생관리, 가공 기술이 뛰어나 해외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프리미엄 한국 수산물"이라는 인식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어떤 한국산 생선들이 세계로 수출되고 있으며, 그 안에 어떤 비밀이 숨어 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우리 수산업의 가능성과 전략적 가치까지 살펴보겠습니다.1. 한국산 생선, 어디로 수출되고 있을까?한국은 매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수산물을 전 세계로 수출하고 있습니다.2023년 기준, 주요 수출국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 태국?.. 2025. 4. 8.
기후변화가 바꾸는 바다의 밥상 – 연근해 어종의 생태 변화 점점 뜨거워지는 바다, 사라지는 생선지금 우리의 바다는 조용히, 그러나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해양 환경의 변화는 인간의 식탁에 오르는 생선들의 서식지, 이동 경로, 번식 주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특히 우리나라 연근해에 서식하는 어종들은 비교적 좁은 해역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최근에는 남해나 동해에서 흔하게 잡히던 생선들이 점점 북상하거나 사라지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배운결과로는 아마도 해수면 수온 상승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 잡히든 어종들이 점점 더 북상하고 있다고 배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든 명태 또한 지금은 러시아에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24년도 해양수산학교에 다닐 때 강원.. 2025. 4. 8.
우리나라 연근해 어종의 특징과 생태 이야기 멸치, 갈치, 전어 등 친숙한 어종들의 생태계 역할까지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양 국가로, 다양한 연근해 어종들이 식탁에 오르고 있다. 특히 멸치, 갈치, 전어 등은 오랜 세월 우리 삶과 함께해 온 친숙한 생선들입니다. 하지만 이들 어종이 단지 ‘맛있는 생선’에 그치지 않고, 바다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대표 어종들의 생태적 특성과 계절별 특징, 그리고 생태계 내 역할까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연근해 어종이란?‘연근해’란 육지에서 가까운 해역, 대체로 수심 200m 이내의 바다를 의미합니다. 이 지역은 햇빛이 잘 들고, 영양염류가 풍부해 어류, 해조류, 플랑크톤 등이 활발히 번식하는 곳이기도 합.. 2025. 4. 8.
해양 플라스틱 오염과 우리가 먹는 해산물의 안전성 바다는 인류에게 수많은 자원을 제공해 왔습니다. 신선한 생선, 영양 가득한 조개, 바다의 풀인 해조류까지, 우리 식탁은 오랜 시간 바다의 선물로 채워졌습니다. 하지만 요즘 바다는 점점 더 위험한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해양 플라스틱 오염이 있습니다. 문제는 단순히 바다만의 문제가 아니라, 결국 우리의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라는 점입니다. 우리는 지금 무엇을 먹고 있는 걸까요.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우리의 바다를 지키고 살리는 것은 당연한 것을 넘어서 마땅히 지켜야 할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바다를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존재, 플라스틱지구상에서 생산된 플라스틱은 100억 톤이 넘는다고 합니다. 이 중 절반 이상은 단 한 번 사용되고 버려지며, 그중 상당수.. 2025. 4. 7.
바다 속 청소부, 해삼이 가진 놀라운 효능 해삼은 우리에게 익숙하면서도 낯선 해양 생물이다. 외형은 투박하고 별다를 것 없어 보이지만, 알고 보면 해삼은 바다 생태계의 숨은 일꾼이자, 인체 건강에 유익한 바다의 슈퍼푸드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양권에서 오랜 세월 보양식으로 사랑받아 왔으며, 최근에는 해삼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건강식품으로 재조명받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우리나라에서 해삼은 바다의 인삼이라고도 한다. 특히나 한때 중국에서는 우리나라 해삼을 많이 수입했다. 중국사람들에게도 해삼은 인기가 많은 식재료 이기도 하다. 바다 생태계를 지키는 조용한 청소부해삼은 해저 바닥을 기어 다니며 모래나 진흙 속 유기물질을 섭취합니다. 이 과정에서 해삼은 침전물과 쓰레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하며, 바다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마치 육지의.. 2025. 4. 7.